본문 바로가기

문화

식물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보자!!(뿌리)

반응형

3. 뿌리

뿌리는 나무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흙속의 산소를 흡입하는 호흡을 하지요. 또한 물과 영양분을 올리는 첫 번째 관문이어요.

가. 나무뿌리는 나무 키만큼 깊이 자라는가? 뿌리는 덩치가 큰 식물일 수록 더 깊고 더 넓게 뻗어서 쓰러지지 않게 하려고 하지요. 그래서 뿌리는 땅속에 뻗어 있는 모양은 식물마다 다르지만, 자라고 있는 흙의 상태에 따라 달라 진다고 해요. 흙이 단단하면 부드러운 흙보다 숨쉬기가 어려우니 뿌리를 옆으로 넓게 펴서 최대한 땅 위의 공기중의 수분을  잘 흡수 한다고 해요.

. 뿌리는 어떻게 흙속의 무기물을 흡수할 까?  뿌리는 끝부분에 나 있는 하얀 솜털이 있는데 이 솜털의 이름은 뿌리털이라고 하며, 식물은 이 뿌리털로 흙 속의 물과 양분을 빨아들인답니다. 뿌리가 흙속으로 뻗어 날 갈수록 뿌리털은 새로 돋아나서 물과 양분을 흡수한다고 해요. 뿌리털은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뿌리털 전체가 빨아들인 물과 양분은 식물이 살아가는데 충분하다고 해요. 뿌리털을 잘라버리면 물과 양분을 빨아들일 수 없으니 관리를 할 때는 아주 주의를 해야 해요. 그러면 물속에 있는 식물은 사방이 물이 있기 때문에 뿌리털이 필요가 없다고 해요. 식물은 환경이 바뀌면 식물도 그 환경에 맞춰 살아가는 방법을 바꾼다고 하지요.  식물이 자라는 데는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살아가는데 우리가 식물에게 왜 비료 주게 되는 것은 식물이  흙속의 양분도 필요하다고 해요. 흙속의 양분은 무기물로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철 등을 말하지요. 그래서 식물은 자신의 양분 말고도 흙속의 양분을 흡수하면 식물은 더 튼튼하게 잘 자란다고 하지요. 이와 같이 잘 자란 식물은 더욱 튼튼하고 열매도 크다고 하지요.

다. 뿌리는 아래쪽으로 만 자랄까요? 뿌리는 일반적으로 땅 아래 방향으로 자란다고 해요. 그래야 땅속의 물과 무기물을 빨아들일 수 있으니까요. 이것은 물체를 지구 안쪽으로 잡아당기는 중력의 힘이 작용하는 것이다고 해요. 하지만 옆으로 뻗어 나는 뿌리는 무기물과 물을 흡수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요.

라. 뿌리는 공기 뿌리가 있다? 흙이 메마르고 비가 잘 오지 않는 곳에서는 식물은 뿌리를 밖으로 뻗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한다고 해요. 또한 물이 너무 많아도 뿌리를 밖으로 뻗어 숨을 쉰다고 해요. 이와 같이 공기 중에 나온뿌리를 "공기뿌리"라고 해요. 그래서 공기중에 노출된 뿌리를 함부로 흙으로 덮어버리면 살기 어려워요.

마. 뿌리 덕분에 벽에 붙어사는 식물은? 담쟁이덩굴은 줄기의 군데군데에서 나오는 뿌리로 부착을 하는데 부착 뿌리라고 한다고 해요. 다른 나무를 타고 올라가는 송악도 마찬가지고요. 부착 뿌리를 가지는 식물은 혼자서 똑바로 설 수 없기 때문에 부착 뿌리가 필요하다고 해요.

사. 균형을 잘 잡는 개구리밥 뿌리. 개구리밥은 물이 출렁거려도 좀처럼 뒤집히지 않고 균형을 잡고 있다고 해요. 개구리밥은 균형을 잡는 것뿐만 아니라 물속에 있는 양분을 흡수해요. 여기에는 부레옥잠도 마찬가지지요. 환경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 어디든지 잘 떠내려갈 수 있는 물 위에 살아야 한다고 해요. 이는 성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라고 해요.

아. 식물의 모든 뿌리를 먹을 수 있을까? 간단히 말해서 먹을 수 있는 것이 있고 먹을 수 없는 것이 있는데 먹을 수 없는 것은 독이 있기 때문이지요. 먹을 수 있는 것은 나물이나 반찬, 약으로 사용되는데 당근, 고구마, 무, 인삼, 도라지. 더덕, 칡 등 양분이 저장된 저장뿌리지요. 먹을 수 없는 뿌리는 독이 있기 때문에 절대 먹으면 안 되는 것으로 천남성, 박새. 자리공, 동의나물등 이있어요. 동의나물은 나물인줄 알고 먹으면 절대 안되는 것입니다.

자, 콩의 뿌리는 질소를 가져다준다고 해요. 콩의 뿌리는 뿌리혹박테리라고 하는 친구가 붙어있지요. 이 뿌리혹박테리아는 공기 중의 질소를 힘도 들이지 않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고 해요. 다시 말하면 뿌리혹박테리아는 공기 중에 있는 단단한 질소를 끌어와서 하나씩 콩에게 주어 흡수하게 하지요. 그러면 콩은 이를 가지고 단백질이 풍부한 열매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밭에 나는 소고기라 한다고 해요.

차. 뿌리형태는 다양하다. 뿌리를 보면 정말 다양하지요. 속씨식물의 뿌리는 곧은뿌리와 수염뿌리를 가지고 있는데, 곧은 뿌리를 가지는 강낭콩, 더덕, 명아주, 민들레, 봉선화, 당근, 무 등이 있으며, 곧은 뿌리는 원뿌리와 가는 곁뿌리가 있어요. 또한 수염뿌리는 벼나 강아지풀, 파, 양파, 대나무, 잔디, 옥수수 등이 있으며, 중심이 되는 뿌리가 없이 굵기가 비슷한 여러 개의 뿌리가 수염처럼 있지요. 뿌리와 잎의 관계는 아주 특별한 관련이 있다는데, 곧은 뿌리를 가진 식물의 잎맥은 모두 그물맥이고, 수염뿌리를 가진 식물은 잎맥이 나란히 되어 나란히잎맥이라고 해요. 따라서 곧은뿌리를 가지는 그물맥을 가진 것을 쌍떡잎 식물이고 수염뿌리를 가진 나란히 잎맥으로 외떡잎식물이라고 해요.

반응형